24절기
24절기는 태양의 황도상 위치에 따라 계절적 구분을 하기 위해 만든 것으로, 태양의 움직임에 맞춘 태양력과 연관되어 있어 매년 날짜가 거의 일정합니다.
예로부터 농경 사회의 중요한 지표로 사용되었으며, 각 명칭은 기후나 농사 활동과 깊은 관련이 있습니다.
| 계절 | 절기 | 양력 날짜 | 의미 | 태양 황경 |
|---|---|---|---|---|
| 봄 | 입춘(立春) | 2월 3일 | 봄의 시작. | 315° |
| 우수(雨水) | 2월 18일 | 눈이 녹아 비가 된다. | 330° | |
| 경칩(驚蟄) | 3월 5일 | 개구리가 겨울잠에서 깨어남. | 345° | |
| 춘분(春分) | 3월 20일 | 낮과 밤의 길이가 같아짐. | 0° | |
| 청명(淸明) | 4월 4일 | 하늘이 맑아짐. | 15° | |
| 곡우(穀雨) | 4월 20일 | 봄비가 내려 곡식을 기름지게 함. | 30° | |
| 계절 | 절기 | 양력 날짜 | 의미 | 태양 황경 |
| 여름 | 입하(立夏) | 5월 5일 | 여름의 시작. | 45° |
| 소만(小滿) | 5월 21일 | 만물이 점차 생장하여 가득 참. | 60° | |
| 망종(芒種) | 6월 5일 | 씨 뿌리기에 좋은 시기. | 75° | |
| 하지(夏至) | 6월 21일 | 낮이 가장 긴 날. | 90° | |
| 소서(小暑) | 7월 7일 | 본격적인 더위의 시작. | 105° | |
| 대서(大暑) | 7월 22일 | 더위가 가장 심한 때. | 120° | |
| 계절 | 절기 | 양력 날짜 | 의미 | 태양 황경 |
| 가을 | 입추(立秋) | 8월 7일 | 가을의 시작. | 135° |
| 처서(處暑) | 8월 23일 | 더위가 그치고 신선한 가을을 맞이함. | 150° | |
| 백로(白露) | 9월 7일 | 이슬이 내리기 시작함. | 165° | |
| 추분(秋分) | 9월 23일 | 밤이 길어지기 시작함. | 180° | |
| 한로(寒露) | 10월 8일 | 찬 이슬이 맺힘. | 195° | |
| 상강(霜降) | 10월 23일 | 서리가 내림. | 210° | |
| 계절 | 절기 | 양력 날짜 | 의미 | 태양 황경 |
| 겨울 | 입동(立冬) | 11월 7일 | 겨울의 시작. | 225° |
| 소설(小雪) | 11월 22일 | 얼음이 얼기 시작함. | 240° | |
| 대설(大雪) | 12월 7일 | 눈이 많이 옴. | 255° | |
| 동지(冬至) | 12월 21일 | 밤이 가장 긴 날. | 270° | |
| 소한(小寒) | 1월 5일 | 겨울 중 가장 추운 때. | 285° | |
| 대한(大寒) | 1월 20일 | 큰 추위. | 300° |